허리둘레 두꺼워지면 콩팥 위험 3배↑
허리둘레가 두꺼워지면 신장기능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약 3배 가까이 높아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내장비만이 신장기능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한 것이다. 한림대의대 사회의학교실(예방의학) 김동현 교수팀과 숙명여대 이정은 교수팀은 콩팥의 배설기능을 나타내는 ‘사구체 여과율’이 60 이상인 성인(45~64세) 454명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보통 신장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사구체여과율 수치가 90 이상이면서 단백뇨가 나오거나 하는 이상상태가 없다. 그러나 사구체여과율 수치가 60 미만이면 만성콩팥병으로 진단돼 심해지면 투석치료와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6년간의 추적조사를 통해 내장 비만도를 나타내는 허리둘레와 신장기능 저하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90cm(35인치)를 넘었을 때 만성콩팥병 위험도가 85cm(33인치) 이하인 여성보다 2.9배 높았다. 남성도 허리둘레가 95cm(37인치)를 넘는 사람이 90cm(35인치)인 사람보다 만성콩팥병 위험도가 2.3배 높게 나왔다.
반면 신장기능 이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알려진 체질량지수(BMI)는 이번 조사에서 별다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한신장학회는 콩팥건강을 위해 △의약품과 건강식품을 남용하지 말 것 △수분부족과 탈수현상을 피할 것 △의사와 의논해 콩팥기능을 규칙적으로 검사할 것 △체력에 맞게 운동할 것 △CT, MRI, 혈관 촬영 전 콩팥 기능을 확인해 조영제의 부작용을 피할 것 등을 권고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양철우 교수는 “비만 중에서도 내장비만이 몸 속 혈당치와 요산 수치 등을 높여 신장기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평상시 적절한 운동과 식이 조절로 복부비만을 예방하는 생활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