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100년의 이야기 2025 강남구 개청 50주년

#강남구개청50주년 #어제와오늘그리고미래100년 #Since1975 #전통과현대 #사람과자연 #K컬처

1975년 10월 1일 개청하여 서울의 발전을 이끌었던 강남구가 50주년을 맞았다. 눈부신 50년을 보내고 앞으로 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100년의 미래를 만들어갈 강남구. 언제나 한걸음 앞서 걸으며 서울 그리고 대한민국의 성장을 선도했던 강남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짚어본다.

1960년대 서울 구도심의 인구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인구 집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강 이남을 개발하기로 하면서 강남구가 탄생했다. 서울 성동구에서 분리돼 1975년 개청한 강남구는 대한민국 경제·문화·교육·사회·행정 모든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번화한 지역으로 꼽힌다. 강남 8학군의 신화를 만들어냈으며 강남대로와 강남역 일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대중교통이 매우 발달한 지역으로 서울의 관문 같은 역할을 해왔다. 금융기관·벤처기업·대기업 사무소가 밀집한 테헤란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지구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화려한 도시, 강남구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이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강남구만큼 전통과 역사가 깊은 곳도 드물다. 장중한 천년 고찰과 지금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K-컬처가 공존하는 곳이 강남구다.

  • 60년대 압구정 양지마을 ↑60년대 압구정 양지마을
  • 70년 압구정 현대백화점 사진 ↑70년 압구정 현대백화점 사진
  • 1970년대 강남역 일대: 세월의 시작 ↑1970년대 강남역 일대: 세월의 시작
  • 2025년 강남역 일대: 이어진 시간 ↑2025년 강남역 일대: 이어진 시간
  • 750930 강남구청 개청식 ↑750930 강남구청 개청식
  • 인구 포화

    서울 구도심 인구 포화로
    강남 개발 시작

  • 문화적 영향

    K-컬처와 전통의 조화로
    문화적 영향력 확대

  • 교통 중심지

    강남대로와 강남역,
    교통 중심지 역할 수행

  • 경제 성장

    경제 성장으로 대한민국 대표
    산업지구로 성장

  • 교육적 명성

    강남 8학군 신화로
    교육적 명성 확립

mini interview

  • 전통 가체명장 임수빈 님
    “머리장식에도 역사가 있어요. 조선시대 여인들의 머리, 고려시대 사대부가의 여인, 왕비의 머리가 다 달라요. 그래서 고전머리의 역사를 배우고 구현하는 것이 재미있어요. 유행이 눈 깜짝할 사이에 바뀌는 강남에서 고전머리의 전통을 전달하고 발전시켜서 모두에게 대한민국 K-뷰티의 뿌리가 어디인지 알리고 싶어요.”

유서 깊은 전통과 최첨단 현대를 잇다

강남의 대표 관광지인 코엑스 근처에는 서기 794년(원성왕 10년) 신라시대의 고승 연회국사가 창건한 봉은사가 자리한다. 1498년(연산군 4년) 선릉의 제사를 담당하는 능침사찰로 지정된 봉은사는 한국인들에게는 분주한 일상에서 평안을 얻는 안식처로, 외국인들에게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경험하는 템플스테이로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조선 9대 성종·정현왕후 윤씨의 왕릉과 11대 중종의 무덤인 정릉이 함께 있는 선정릉, 대모산에 자리한 700년 사찰 불국사 그리고 500년의 역사를 지닌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과 종택 또한 강남구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선정릉 근처 풍류극장은 여성국극을 올리며 전통 문화를 계승한다.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인 장인과 명인도 있다. 대모산 자락 전통 장 명인 조숙자 씨의 집마당에는 45년 된 씨간장부터 주렁주렁 열린 메주까지 유서 깊지 않은 것이 없다. 패션 트렌드를 선도하는 청담패션거리에는 왕가 여성들의 가체 및 고전머리를 연구하고 구현하는 가체 명장 임수빈 씨의 숍이 있다.

  • 전통과 현대를 잇다(봉은사) ↑전통과 현대를 잇다(봉은사)
  • 외국인에게 템플스테이로 유명한 천년고찰 봉은사 ↑외국인에게 템플스테이로 유명한 천년고찰 봉은사
  • 500년의 역사를 지닌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500년의 역사를 지닌 전주 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 원로 여성국극 배우들의 공연이 펼쳐진 민속극장 풍류 ↑원로 여성국극 배우들의 공연이 펼쳐진 민속극장 풍류
  • 화려함이 쏟아지는 길(강남역 일대) ↑화려함이 쏟아지는 길(강남역 일대)

mini interview

  • 전통 장 명인 조숙자 님
    “장은 햇빛이 생명이에요. 대모산 자락에 있는 이곳은 공기와 물도 좋아요. 초가가 대부분이던 이 마을에 시집온 이후 친정어머니에게 배운 장을 담그기 시작했어요. 입소문이 나서 장 담그는 법을 배우러 전국 각지에서 왔어요. 이 된장으로 식구들 건강을 지키면 가정도 나라도 건강해진다는 믿음이 있어요.”

과거와 현재, 사람과 자연을 잇다

50년의 세월 동안 강남구는 천지가 개벽할 정도로 변화했지만 속속들이 보면 그만큼 바뀌지 않은 것들이 많다. 50년 경력의 재단사가 일하는 맞춤 양복점이 여전히 사회초년생의 첫출발을 함께하고 1980년대부터 학생들의 길라잡이, 놀이방이 돼준 중고책방이 여전히 건재하다. 그때 그 시절 참고서와 희귀서적을 찾아 방문했던 중고등학교 손님들은 이제 아이의 손을 잡고 서점의 문을 열고 들어온다. 강남구의 새벽을 열던 영동시장은 젊은이들의 활기로 다시금 전성기를 맞고 있다. 강남구의 터줏대감 은마상가는 그때 그 모습 그대로 구민과 생활을 함께한다.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의 패션·문화를 주름잡았던 압구정 로데오 거리도 새로 생긴 상점들 사이에 여전히 자리를 지키는 토박이 상점들로 변한 듯 변하지 않은 반가운 모습으로 행인들을 맞는다.
대모산, 양재천 등 아름답고 풍요로운 자연은 ‘살고 싶은 도시’로 꼽히는 강남구의 또 다른 자랑. 적당한 높이와 경사로 사시사철 등산객이 끊이지 않는 대모산은 이름 그대로 어머니의 품처럼 아늑하게 강남구를 감싼다. 1990년대 정화작업을 통해 아름다운 자연을 되찾은 양재천은 강남구민의 심신 건강을 책임질 뿐 아니라 각종 생물의 서식지로서 자연과 공존하는 현대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1987년 무역센터: 시작을 품다
↑1987년 무역센터: 시작을 품다
2025년 무역센터: 빛나는 세월
2025년 무역센터: 빛나는 세월

mini interview

  • 광평대군 21대손 이병무
    “지어진 지 500년이 된 이 종택은 양자 없이 적손들로만 20대를 지켜오고 있어요. 저도 여기서 태어나고 지금까지 살고 있습니다. 종택은 우리의 선조들, 조상님들의 혼이 담겨 있는 가옥이에요. 자연재해 등으로 오래된 나무라도 상하면 조상님들께 죄송스럽기 그지없습니다. 좀 불편하더라도 앞으로도 꼭 이가옥을 자자손손 지켜주길 바랍니다.”

강남, K-컬처와 함께 미래를 디자인하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강남을 방문하려는 외국인 팬들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문화 소비를 넘어, 관광객을 유입하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기폭제로 작용하고 있다. 강남은 이 흐름을 강력한 미래 전략으로 삼고, 한류 콘텐츠와 지역 자산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관광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강남유닉투어’는 강남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참여형 K-컬처 콘텐츠로,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도심 속 별빛 요가, 황톳길 맨발 걷기, 시티런, 전통·뷰티 체험 등은 관광객은 물론 시민도 함께 즐기는 강남만의 개성 있는 로컬 관광을 이끄는 핵심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와 콘텐츠가 일상에 스며든 강남은 이제 한 번 방문하는 도시를 넘어, ‘머무르고 싶은 도시’, ‘살아보고 싶은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이 변화는 앞으로 강남의 미래 100년을 이끌 또 하나의 강력한 성장축이 될 것이다.

코엑스_무역센터_아셈타워
↑코엑스_무역센터_아셈타워
양재천
↑양재천
  • K-POP 열풍 속 외국인도 참가한 랜덤플레이댄스 ↑K-POP 열풍 속 외국인도 참가한 랜덤플레이댄스
  • 별마당 도서관 ↑별마당 도서관
  • 케데헌 주제곡 최초 공개 코엑스 대형 전광판 ↑케데헌 주제곡 최초 공개 코엑스 대형 전광판
  • 강남역 ↑강남역
  • 갤러리아 백화점 ↑갤러리아 백화점

mini interview

  • 50년 경력의 재단사 박생기 님
    “15세 때부터 양복을 지었어요. 1977년 양복점에 입문해서 심부름 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바지 기술을 익혔고 마지막 단계에 재단을 배워서 양복점을 차리게 됐어요. 저희가 각 손님의 재단기록을 모아둬요. 그래서 멀리서도 옷을 주문하는 단골들이 계세요. 입사하고 싶은 회사의 면접을 앞두고 양복점을 찾는 사회초년생들을 보며 이 일의 보람을 느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