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건물 상층부 연결…전망 좋은 곳에 어르신 시설”
- 게재일자2023-12-19
- 조회수2508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 지난 15일 집무실에서 가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공중 공간에 여러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새로운 기부채납 방안과 구청사 이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강남구]](https://www.gangnam.go.kr/upload/editor/2023/12/19/e3a21b5c-cf2f-4847-bce2-54af6fc88e33.jpg)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이 지난 15일 집무실에서 가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공중 공간에 여러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새로운 기부채납 방안과 구청사 이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강남구]
“전망 좋은 곳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중 편의시설’을 많이 만들어 보려 합니다.”
조성명(66·사진) 서울 강남구청장은 지난 15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재개발·재건축 시 짓는 민간 건물의 공중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구청장은 또 낡고 비좁은 현 구청사 이전 전까지 구민 편의를 위해 민간 건물을 임차해 ‘외부 청사’를 두는 방안과 미래 먹거리로써의 로봇산업에 대한 구상 등도 밝혔다.

서울 삼성동 강남구청사 모습. 사진 강남구
Q : 건물 상층부 활용에 관심이 많은데.
A : “건물 주변 대지에는 녹지를 조성하고 상층부에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건물 상층부를 연결해 공중공원을 만들거나 북카페처럼 세련된 어르신복합문화시설이 들어올 수 있다. 또 강남엔 지하철역이 30개 있다. 역세권 주변을 고밀도 복합 개발하는 이른바 ‘콤팩트시티’사업도 계속 추진하겠다.”
Q : 어떻게 가능한가.
A : “기부채납 방식을 활용하면 된다. 기부채납이란 사업자가 개발사업을 할 때 공원·체육관 등 공공시설을 지은 뒤 지자체에 무상으로 넘기는 걸 말한다. 새로운 기부채납을 적용할 수 있는 재건축·재개발 구역이 강남구에는 최소 25곳 이상 된다. 내년 용역 결과가 나오면, 민간 사업자에 새로운 방식의 기부채납을 유도할 생각이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이 올 초 첫 업무로 지자체 최대 규모의 강남도시관제센터를 방문해 24시간 구민의 안전을 지키는 CCTV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뉴스1
Q : ‘그린 스마트 시티’사업도 눈길을 끈다.
A : “디지털기술을 주민 생활에 접목하는 게 핵심이다. 일례로 인공지능(AI) 챗 GPT 기술이 탑재된 반려 로봇 ‘다솜이’는 대화 속 키워드를 분석해 (말하는 이의) 감정 상태나 통증 여부 등을 파악한다. 내년에 ‘AI 지능형 선별관제시스템’구축을 추진한다. 행인이 갑자기 쓰러지는 등 특정 상황을 지능형 폐쇄회로TV(CCTV)가 인지, 관제요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비상상황에 더욱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다. 강남구는 ‘2023 스마트시티 엑스포’ 안전·회복성 분야에서 최우수도시상을 받은 저력이 있다. 물론 개인정보 침해문제도 면밀하게 살피겠다. (그린 부문은) 내년 11월까지 대모산에 무장애 데크 길을 놓는 ‘강남 힐링 숲’ 조성사업을 들 수 있다.”
Q : 강남의 미래 성장동력은 무엇인가.
“내년 3월이면 수서동에 ‘로봇플러스 실증 개발지원센터’가 문을 연다. 중소기업 생산성을 높이고 시민의 삶을 더욱 편안하게 해줄 로봇 기술 등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수서역세권 업무·유통시설 내 로봇 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밖에 ‘지능형로봇법’ 개정으로 로봇의 실외주행이 가능해졌다. 강남에서는 이미 배달 로봇 ‘딜리’와 ‘뉴비’가 실증사업 중이다. 앞으로 협력업체 풀을 넓히고, 배달 품목도 택배나 생필품 등 범위를 넓히겠다.”

14일 오후 서울 강남구에서 자율주행 배달로봇 '뉴비'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Q : 부동산 안정화 위해 어떤 정책 펼치고 있는지.
A : “올 4월 국토교통부에 재건축단지 내 상가 지분을 쪼개 분양자격을 늘리는 행위를 막기 위한 법령 개정을 건의했다. 그 결과 개정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만들어졌다. 올해 안에 본회의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구민들이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에서의 지원방안을 찾겠다.”
Q : 구청사 이전 추진 상황은.
A : “현 청사는 1975년 지은 조달청 창고용 건물을 고쳐서 쓰고 있다. 부서가 이 건물 저 건물로 나뉘어 있다. 주차·업무공간도 비좁다. 구민 직원 모두 불편함이 상당하다.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학여울역 일대 복합개발 기본구상 용역에 신청사 건립을 포함해 줄 것을 건의했다. 시에서도 강남구에 부지 일부를 분할 매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 하지만 실제 이전까지는 앞으로 수년 걸린다. 이에 청사 근처 민간 건물을 임차해 행정을 집약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