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구민 모두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나기

기간

2025. 11. 15.~2026. 3. 15. (4개월간)

주요 추진사항

한파·제설 대비

안전 관리

취약계층 보호

생활·건강 지원

추진사항

분야별 세부추진사항의 분야별, 주요업무, 담당부서로 나타내는 내용
분야 주요업무 부서
한파·제설
  • 한파 상황관리체계 구축·운영
  • 한파 쉼터 운영
  • 제설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재난안전과
도로관리과
안전
  • 겨울철 중대재해발생 대비 - 야외 작업종사자 관리 및 혹한 대비 공중이용시설 특별점검
  • 공원·녹지·하천 분야 겨울철 대책 추진
  • 전통시장 및 상점가 안전점검
  • 재건축현장 안전관리
  • 건축공사장 및 취약 시설물 안전 점검
  • 여성·가족·아동·청소년 시설 안전점검
  • 어린이집, 어르신·장애인 복지시설 안전점검
  • 무허가 건물촌(구룡·재건·달터·수정마을) 안전관리
  • 산불예방 및 산불발생 시 초동 대응체계 구축
  • 가스시설 안전 점검
중대재해예방실
공원녹지과
지역경제과
재건축사업과
건축과
가족정책과
보육지원과
어르신복지과
장애인복지과
공간개발과
환경과
취약계층 보호
  • 2026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 저소득주민 월동대책비 지원
  • 노숙인 보호
  • 독거어르신 보호 및 한파쉼터 운영
복지정책과
사회보장과
어르신복지과
생활·건강
  • 교통대책상황실 운영(대설주의보 발령 시)
  • 온열의자, 버스정류소 바람가림막 운영
  • 청소대책반 운영
  • 김장쓰레기 배출 방법 한시적 변경
  • 감염병 예방 및 구서 방역
  • 의료취약계층 인플루엔자 백신 지원
  • 연료(가스, 석유 등) 안정 공급
  • 미세먼지 상황실 운영, 초미세먼지 예·경보제 실시
교통행정과
자원순환과
질병관리과
환경과

한파특보 발령 기준

한파란?

아침 최저기온이 기준 이하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한파 상황관리 TF 운영
기간: 2025. 11. 15.~2026. 3. 15.
관련부서 상황유지 및 한파 관련 업무추진

구성 : 상황총괄반, 복지대책반, 시설·농작물대책반

한파대책 종합지원 상황실 운영
특보 발령, 저온현상으로 피해 발생 또는 피해가 우려될 때
특보 및 비상시 24시간 상황유지
한파피해 상황접수·지원
유관기관 협조체계 유지

수도관·계량기 동파, 정전 등

한파쉼터 운영 바로가기
기간 : 2025. 11. 15.~2026. 3. 15.
운영 시설 : 총 76개소
한파쉼터, 현황(개소), 운영시간(평일), 주말공휴일 운영여부, 운영장소로 나타낸 내용
한파쉼터 현황(개소) 운영시간(평일) 주말, 공휴일 운영장소
주민센터 21 9~18시
* 한파특보 시 9~21시
한파특보 시 10~18시 민원실 공간 개방
경로당 24 9~18시 미운영 일부 공간 개방
복지관 24
보건소 3
문화시설 4
[카드뉴스]겨울철, 한랭질환을 조심하세요!
한파 시 행동요령

제설

제설 재난대책본부 운영
기간 : 2025. 11. 15.~2026. 3. 15.
24시간 상황실 유지
대상 : 총 1,993개 노선, 432km

간선·보조 간선도로 63개 노선 91km, 이면도로 1,930개 노선 341km

단계별 비상근무

평시/보강/1단계(강설예보)/2단계(대설주의보 발령)/3단계(대설경보 발령)로 구분

강설 시 대응체계 구축
강설 화상시스템 운영으로 강설 사전예측 및 조치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현장 간 연계성 강화

제설현장관리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제설 관리

제설차량 모바일 장비(GPS+키패드) 장착 운영

주요도로 및 교통상황 등 CCTV영상 수신 및 실시간 확인

제설작업을 위한 발진·전진 기지 및 이동식 전진기지 설치
제설함, 이면도로 급경사지 도로 열선 설치
제설·결빙 취약지역 자동염수분사장치 설치
신속한 상황전파 및 비상근무체계 구축
지하철 역 주변 및 간선도로 보도 제설
지하철 역사 출입구 100m 내외

2단계 이상 발령 시(적설량 5cm이상 예보 시) 상황에 따라

현대식 소형 보도제설장비 활용

탑승식브러쉬, 4륜 제설기, 송풍기, 전동 운행식 제설제 살포기 등

물리적 제설작업·제설제 살포 → 보행자 통행로 우선 확보

버스정류장 승하차 구역 집중 제설

관내 버스정류장 429개소 대상(마을, 공항버스 제외)

강설 예상시간(출·퇴근시간 이전, 이후) 사전 제설제 살포

제설 순찰반 운영
4개조 8명 편성
강설 전·후 관내 주요 간선도로 및 취약지점 순찰

적설 및 도로 제설 상태 확인

내 집, 내 점포 앞 눈치우기
주간 : 눈이 그친 후 4시간 이내
야간 : 다음날 오전 11시까지

단, 1일 적설량이 10cm 이상일 경우 24시간 이내

제설범위

보도는 해당 건축물이 대지에 접한 구간 전체

이면도로와 보행자 전용 도로는 대지경계선에서 1m까지

건축물 관리자 제설 의무화(소유자, 점유자, 관리자 순)

건축물 주변 보도, 이면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시설물 지붕에 대한 제설·제빙 작업 실시

우리동네 제설함 위치
제설범위 안내. 집 앞에 내린 눈:폭 1.0m, 상가건물 앞에 내린 눈: 폭1.0m, 보도위에 내린 눈:보도전체 제설범위 안내. 집 앞에 내린 눈:폭 1.0m, 상가건물 앞에 내린 눈: 폭1.0m, 보도위에 내린 눈:보도전체

중대재해 대응체계 강화

중대산업재해 예방
겨울철 야외작업 종사자 관리
작업장 관리

한랭질환 예방 교육 : 종류, 예방법, 증상, 응급조치 요령 등

추운 시간대 옥외작업 최소화, 작업계획 점검

한파특보 전파, 건강이상자 보고 등을 위한 비상연락망 점검

따뜻한 옷(방한장구), 따뜻한 물, 장소마련 점검

온도계 비치 여부 점검

중대시민재해 예방
혹한 대비 공중이용시설 특별점검
중대재해예방실·소관부서 합동 점검
대상 : 공중이용시설, 시민재해 발생 우려 시설
방법 : 소관부서 합동 현장점검 또는 자체점검
점검분야

강설에 따른 건물 주변 낙상사고 및 적설하중으로 인한 사고 예방점검

수계설비(옥외수도, 스프링클러 등) 동파 대비 사전점검

설비, 온열기구 사용에 따른 사고 예방점검

시설 안전점검

전통시장 및 상점가
기간 : 2026. 1월 중 ※ 일정 변동 가능
점검분야 : 전기, 가스, 소방, 건축 ※ 변동 가능
방법 및 내용

공무원·분야별 민간 전문가 합동점검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기반 점검

상반기 집중안전점검 지적사항(보수·보강) 이행여부 확인

재건축 공사장
기간 : 2025. 11.~12.
대상 : 관내 재건축공사현장 총 6개소
방법 및 내용

외부전문가 및 공무원 합동점검

공사장 안전관리 적정여부 및 감리자 업무수행 실태점검

동절기 건축 공사장·취약시설물
기간 : 2025. 11.~12.
대상 : 건축공사장, 취약시설물 등 총 340개소
방법 및 내용

외부전문가 및 공무원 합동점검

화재유발물질(가스 및 유류 등) 관리상태 및 소화기 비치

각종 안전시설 적정 관리

가설울타리, 가림막, 환경정비, 기타 위해요인

해빙기 대비 건축공사장 안전점검
기간 : 2025. 3.
대상 : 굴토공사장 및 사설위험시설물 총 120개소
방법 및 내용

외부전문가 및 공무원 합동점검

공사장 주변 안전관리 분야 점검

주요부재 안전성, 절개지 안전성 및 계측 상태

공사부지 주변 침하, 기타 감전, 낙하, 폭발 등

겨울철 공사장
어린이집
기간 : 2025. 11.~2026. 1.
대상 : 관내 어린이집 166개소

국공립70, 민간30, 직장37, 가정28, 협동1

방법 : 시설 자체점검 및 현장점검

자체점검 → 대상시설 중 15% 이상 선정 → 공무원 현장점검

점검내용

안전관리 계획 수립 및 안전관리자 교육훈련 이수 여부

소방·전기·가스장비 노후도 및 정상 작동여부

냉난방시설, 승강기 등 원내 시설물 및 차량 관리 적절 여부

실내공기질, 방역, 위생 관리 적절 여부

어린이집
어르신 복지시설
기간 : 2025. 12. 1.~2025. 12. 31.(예정)
대상 : 관내 노인복지시설 및 경로당 67개소
방법 : 전문가 및 공무원 합동 현장점검

건축·전기·소방·가스·기계 분야

점검내용

겨울철 화재 발생 대비 소방시설 점검 강화

동파·제설 장비 구비 등 한파 및 폭설 대비 시설물 안전관리

전기·가스 안전관리 여부

장애인 복지시설
기간 : 2025. 11. 15.~2026. 3. 15.
대상 :장애인복지시설 56개소

지역사회재활 16, 거주 23, 직업재활 9, 기타 8

방법 : 시설 자체점검 → 시설담당 및 민관합동점검단 방문 점검
점검내용

안전관리자 지정, 비상연락망 구축, 화재보험가입 등 법규준수여부

건축·전기·소방 등 분야별 위험요소 존재여부

해빙기 수시 안전점검

화재 예방

산불방지 대책본부 운영
기간 : 2025. 10. 20.~12. 15.
운영 : 33명 6개조

평일 09:00~21:00 / 주말 10:00~21:00

평시 산불취약지 등 산불예방순찰
산불발생 시

상황접수 및 진화대 투입결정, 현장 진화체계 유지

유관기관(소방, 경찰, 군) 공조체계 유지

산불예방
산불방지체계 확립

공무원 진화대 편성, 산불방지 교육,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실시간 산불감시 체계 구축 (산불감시 블랙박스, 지능형 CCTV설치)

산불예방활동 및 홍보

산불취약지역 등 산림주변 순찰, 산불예방 캠페인 실시

산불장비 점검

산불진화용 고압수관 및 보관함, 산불장비 보관함

무허가 판자촌
기간 : 2025. 11. 15.~2026. 3. 15.
대상 : 구룡·달터·재건·수정마을 529세대
수시 점검·소방시설 점검·주민 홍보

소방펌프 작동, 동파방지용 난방기기 작동여부 점검

소화기 비치 수량 및 분말 고착 여부, 소화기 압력 점검

주민회관 등 주요지점에 화재 예방 안내문 부착

가스 공급·사용시설
대상 : 24개소(고압가스 13, LP가스 6, CNG 1, 다중이용시설 4)
구·소방서·한국가스안전공사·도시가스사 합동 점검

시설 안전설비(장치) 작동상태 및 가스 누출 여부

시설 주변 발화물질 등 위험 요소 방치 여부

가스안전사고 위해 요인 점검

법정 의무사항(안전관리책임자 준수사항 이행 등) 준수 여부

가스 안전관리 홍보 및 사고 대비 긴급 대응체계 확립

2026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모금기간

2025. 11. 15.~2026. 2. 14.

모금품목

성금 및 성품

접수· 문의

강남구청(02-3423-5774) · 동 주민센터

입금계좌

우리은행 015-176590-13-514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서울특별시지회)

취약계층 겨울나기

노숙인 보호
기간 : 2025. 11. 15.~2026. 3. 15.
토, 일 한파특보 발령시 9시~18시(필요시 수시)
특별순찰활동

일 1회 이상 상주 노숙인 모니터링

순찰·예방 활동을 통한 신규 노숙인 유입 현황 파악

라포형성 및 복지상담을 통한 사회복귀 지원

한파 특보 발령시 주의사항 안내, 비상물품 지원

독거어르신 보호
기간 : 2025. 11. 15.~2026. 3. 15.
취약 어르신(노인맞춤돌봄서비스) 안전·건강 확인

한파특보 시 전원 격일 안전 확인 (※ 필요시 매일)

안전관리 솔루션(IoT)을 통한 온·습도 및 실시간 모니터링

생활지원사·사회복지사를 통한 생활 안전교육

거동 불편 어르신 도시락 및 밑반찬 배달

기간 : 2025. 12. 1.~2026. 2. 28.

교통

교통대책상황실 운영
대설특보 발령 또는 강설로 인한 교통통제 요인 발생 시

주요 교통상황 안내, 불편사항 처리, 유관기관 협력

교통통제 및 차량우회 안내, 대중교통 연장운행 등 교통정보 안내

마을버스 노선 경유 도로 운행 여건 상황 관리, 교통시설물 순찰·점검

단계별 운영
상황실 운영을 재난 단계, 상황 임무로 구분하여 안내
구분 재난 상황 임무
1단계(주의) 강설 예보 상황 주시·비상연락 체계 유지
2단계(경계)
비상근무
대설주의보
한파주의보
시설물 점검·교통정보 안내
3단계(심각)
비상근무
대설경보
한파경보
시설물 점검·교통정보 안내
교통통제 및 차량우회 안내
비상 시 특별수송대책
단계별 대중교통 증회 운영 (2·3 단계 부터)
일부구간 지하철 운행 중단 시 대체수송

장기화 시 인근버스 노선 증편, 대체 셔틀버스 운행

혼잡시간대 버스 증회 및 출퇴근 집중배차시간대 연장 운행
교통시설물 점검반 운영
강설, 도로결빙 등 도로통제에 따른 버스우회운행

우회 운행 시 BIT, SNS, TOPIS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안내
topis.seoul.go.kr

청소

청소대책반 운영
청소기동반 9개조 상시 운영
제설작업 지원

폭설 시 취약지역 제설작업·강설 후 보도 잔설 제거 지원

폭설 시 쓰레기 수거 비상수송체계

제설 지원 인력·장비 확보, 비상연락망 구축

폭설 시 임시적환장 확보, 폭설 예보 시 쓰레기 미리 수거

김장쓰레기 배출방법 한시적 변경
기간 : 2025. 11. 1.~12. 31.
변경 내용

배추, 절임배추, 무청 등 채소류 → 일반·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사용

김장쓰레기를 일반쓰레기와 혼합 배출 시 과태료 부과
※ 김장철(11~12월) 외 배출 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사용

배출 방법
김장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구분, 쓰레기 분류, 배출 방법으로 나타낸 내용
구분 김장쓰레기 일반쓰레기
분류 배추, 절임배추, 무(무껍질 포함), 무청 등 채소류 양파·마늘·생강 껍질, 대파·쪽파 등의 뿌리, 고추씨, 고추대
배출방법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20리터 이상) 및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무·배추 등 부피가 큰 쓰레기는 잘라서 물기를 뺀 후 배출)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
동절기 청소·순찰 강화
가로 및 뒷골목 청소 강화

청소담당구역 지정 운영 및 빗물받이 청소 철저

중점관리도로 청소(영동대로, 테헤란로, 도산대로)

결빙으로 물청소가 어려운 경우 노면 청소 작업시간 확대

제설작업 잔재물(모래 및 염화칼슘) 제거

중점관리지역 무단투기 등 위반행위 순찰 강화

취약지역 중점 순찰(다중이용시설 주변, 무단투기 우려 지역 등)

휴일 다중이용장소, 가로휴지통 주변 등 청소 관리 강화

생활쓰레기 배출 질서 위반 행위 단속

안전사고 예방 및 청결 관리
환경미화원 안전사고 예방 교육, 휴게실 점검 및 화재 예방
청소차량 및 장비 등 일일점검 및 정비
쓰레기 집하 장소 점검 및 청결 유지

차고지 및 적환장 내·외부 안전 위험요소 점검

살수 작업에 의한 결빙 대비 모래함, 제설제 비치

감염병 예방

감염병 발생 감시·예방 및 취약지역 방역
겨울철 호흡기 질환, 계절별 감염병 관리 및 예방 홍보

손씻기 6단계, 기침예절 등 감염병 예방 수칙 홍보

해외유입 신종감염병 감시 관리

겨울 휴가철 해외입국자 관리 및 유증상자 추적관찰

월동 모기 서식지 방제, 소독

유충구제 및 살충 소독(모기민원 다발지역 정화조, 집수정 등)

조류 인플루엔자(AI) 방제
구서 방역
방역기동반 집중 구서 방역

쥐 출몰 민원 접수 시 방역기동반 신속 대응

서식·출몰지 타겟 방역 및 쥐 퇴치법 홍보

의료취약계층 인플루엔자 예방·관리
접종 기간 : 2025. 10. 15.~12. 31.
지원 대상 : 관내 14~64세 기초생활수급권자, 심한 장애인(1~3등급), 국가유공자

주민등록상 강남구민이며 1961. 1. 1.~2011. 12. 31. 출생자 중

접종 장소 : 관내 위탁의료기관 60개소 자세히 보기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하기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 실천
인플루엔자 의심 대상자 등원·등교 자제
유행기간 중 가급적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방문 자제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독감) 국가예방접종 지정의료기관 찾기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및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

연료·미세먼지

연료(가스, 석유 등) 에너지 안정공급
겨울철 가스공급시설 안전점검
설 연휴 에너지 안정공급

연휴기간 전 공급물량 확보, 지역별 1/2~1/3 교대 영업 권장

휴무 시 판매소 정문에 휴무 및 인근 영업소 안내문 게시

연탄 쿠폰 사용 연탄 판매점 등 안내

미세먼지 저감 대책
(초)미세먼지 상황실 운영

계절관리제 기간 강화 운영 : 2025. 12.~2026. 3.

(초)미세먼지 예·경보제 시행

연중 매일, 오전·오후 각 2회 예보

문자전송, 서울시 홈페이지·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 게시
대기정보·예보 확인하기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 비상저감조치 시행

수도권 3개 시·도 중 2개 이상 발령기준 충족 시 발령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비상저감조치 단계별(1~3단계) 시행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 시행

인플루엔자 예방

의료취약계층 인플루엔자 예방·관리
접종기간 : 2025. 10. 11.~12. 31.
대상 : 관내 14~64세 기초생활수급자, 심한장애인, 국가유공자

주민등록상 강남구민이며 1960. 1. 1.~2010. 12. 31. 출생자 중

장소 : 관내 위탁의료기관 75개소
자세히 보기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하기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 실천
인플루엔자 의심 대상자 등원·등교 자제
유행기간 중 가급적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방문 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