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소원

백범 김구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느님이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오.”

할 것이요, 또,



“그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나의 소원》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편 중...



김구가 주장한 '문화의 힘'이라는 것은 현대 사회에 '소프트 파워(Soft power)' 을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매력이다. 즉, 소프트파워는 상대 스스로 하여금 그렇게 행동하고 싶게 만드는 능력이다.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가장 '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우리의 부력(富力, 경제력)이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 군사력)이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도 큰 행복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백범일지》중에서...





국제 관계에서 '소프트 파워' 자원들은 나라의 문화 양상이나 가치관(민주주의, 인권, 종교, 사회 규범 등), 정치적 목표 등으로 인해 발현되는데, 강제력 등의 물리적인 힘이 아니라 자발적인 행동을 이끌어내는 ‘매력’과 연관되어 있다.



1) 정신적 가치

: 개개인의 사회구성원 정신 속에 학습된 도덕, 사회규범, 윤리, 민주주의 등 가치관.



2) 문화

: 사회구성원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행동하는 방식.



3) 외교 정책

: 국가 차원에서의 외교 정책.



김구(金九)

(1876-1949)

독립운동가·정치가.



본명 창수(昌洙). 호 백범(白凡). 김구(金九)로 개명하였다. 17세 소년 시절부터 훈장이 되었고, 동학당에 가입하여 동학혁명에 참가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게 쫓겨 1895년 만주로 피신하여 김이언(金利彦)의 ‘의병단’에 가입하여 이듬해 귀국한 후 일본 낭인에게 명성황후가 시해당한 원수를 갚고자 일본군 중위를 살해하고 체포되어 사형이 확정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로 감형되었다.



이로부터 항일 무력 활동을 시작한다. 결사 단체 <한인애국단>을 조직하고, 사쿠라다몬 저격 사건, 상하이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 등 이봉창·윤봉길 등 의거를 지휘하였다.



1910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충칭(重慶)으로 옮길 때 이를 통솔하였고,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설치하여 사령관에 지청천(池靑天)을 임명하고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선임되었다.



8·15광복 후 귀국하여 <한국독립당> 창설과 함께 당수가 되었으며 민족 통일 총본부 부총재·민주의원 총리를 역임하였다. 1947년도 과도 정부에 반대하고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49년 6월 26일 경교장에서 육군 포병 소위에게 암살당하였다.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다.



저서로 <백범일지(白凡逸志)>가 있다.




나의 소원은 대한민국 자활정책의

올바른 성장과 참여자들의 삶이

건강하고 행복했으면 합니다.


정당한 국민의 한사람임을 스스로

입증할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