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직업지원을 위해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 취업 및 적응지원 사업을 운영합니다.
구직상담 | 구직자에 대한 정확한 욕구파악 후 적합한 구인정보 제공 |
---|---|
훈련과정상담 | 작업적응훈련생, 보호자의 정기적인 개별 심층 상담 |
직업평가 | 작업표본평가 |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활용한 직업적 잠재능력 평가 |
---|---|---|
관찰평가 | 직업적응훈련, 취업 알선 대상자의 실제 현장 적응도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 |
개인사회생활적응 훈련 | 가사실습, 여가활동, 사회적응훈련, 신변자립 등 일상생활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세 지도 |
---|---|
직업준비 및 작업수행 | 훈련생별 필요 학습 요인에 따른 인지교육, 직업교육을 통해 적절한 직업적 태도 형성 도모 |
직무능력향상 및 작업유지 | 바리스타, 제과제빵, 미술특화 직무기술 습득을 통한 직업능력 개발 |
자치회 | 당사자가 스스로 프로그램 활동 주제 및 훈련반 규칙에 대한 의사결정 |
사례관리 | 상담, 과정평가, 사례회의, 사후관리 등 체계적인 개별 사례관리를 통해 효율적 지원방안 마련 |
업체관리 | 홍보, 업체개발, 업체관리 등 다양한 업체 개발을 통한 장애인 고용의 확대 및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 배치 |
---|---|
취업 전 교육 | 면접방법지도, 이력서작성, 모의면접 등 원활한 구인정보 제공 및 구직활동 지원을 위한 취업 전 교육 진행 |
현장훈련 | 직무습득을 위해 사업체 현장에서 직무습득 및 직업생활적응관련 현장 훈련 진행 |
취업알선 | 장애인의 흥미와 특성, 직업적 욕구, 신체적 기능 등을 고려한 취업 정보 제공 및 직업탐색의 기회 제공 |
취업 | 지원고용, 일반고용, 보호고용 등 취업알선을 통한 취업확정 |
취업 후 적응지원 | 취업자 업무적응을 위한 정기적인 적응지원 및 자조모임 진행 |
장애인복지일자리사업 | 취업 취약계층인 중증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참여 확대와 소득보장 도모 |
직업지원연수 | 훈련생, 취업자간 취업 정보 교류 및 유대감 도모, 직종체험 진행 |
---|
부모모임 | 사업설명, 정보교류, 전문교육 등 부모님간의 관계 유지 및 교류 활동 |
---|---|
직업지원홍보 | 구직 장애인의 취업연계를 위한 현수막, 배너, 홈페이지 게시를 통한 직업지원서비스 홍보 |
직업지원네트워크 | 유관기관 네트워크간담회를 통해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정보 공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