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튼튼하게’ 레이저 임플란트
붓고 피 나는 부작용 적어 5~6번 내원으로 ‘거뜬’
치아가 빠지면 예전에는 틀니를 맞추는 게 당연지사였다. 적어도 임플란트 보급 전까지는 말이다. 임플란트는 잇몸에 인공치아를 심는 것으로 실제 자기 치아와 별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 시술법이다. 단 한 가지 단점이 있다면 치료기간이 6개월여 걸린다는 것. 통상적으로 아래턱은 3개월, 위턱은 6개월의 시간이 걸린다. 나이나 뼈 상태에 따라 한 두 달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하루만에 끝나는 치료, 한 달 만에 끝나는 치료 등등 짧은 시술기간을 내세운 임플란트 광고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것도 납득이 간다. 그러나 잇몸에 심어놓은 인공뿌리가 제대로 자리잡고 치아의 기능을 충분히 하려면 단기간의 시술로도 가능할지 생각해 봐야 한다. 매직키스 치과 정유미 원장은 “하루만에 임플란트 보철물을 완성하거나 단기간에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은 애써 심어놓은 인공뿌리가 제대로 자리잡는 데 방해요소가 된다”며 “최소한의 고정기간을 지켜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와 있다”고 말했다. 임플란트는 치아를 대신해 치조골에 고정되는 인공물이다. 그 위에 보철물이 올라가면서 치아를 대신하게 된다. 임플란트는 치아의 구성요소로 보면 인공뿌리가 되는 셈이다. 내 이 같은 튼튼한 임플란트를 원한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해진 고정기간을 지켜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렇다면 관건은 치과에 내원하는 횟수를 얼마나 줄이느냐가 된다. 레이저 술식은 3~6개월의 치료기간 동안 5~6번 내원하는 것만으로도 튼튼한 임플란트를 얻을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은 보통 잇몸과 뼈 속에 인공뿌리를 심는 1차 수술과 잇몸 속의 인공뿌리를 노출시켜 보철물을 연결하는 2차 수술을 연이어 받아야 하는데 레이저를 이용하면 이 두 가지 수술을 한번에 할 수 있다. 내원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은 레이저 술식의 비침습적 특징 때문이다. 레이저 수술은 수술 중 잇몸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아 붓거나 피가 나는 부작용이 적고 잇몸을 꿰매거나 흉터가 생길 가능성이 크게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레이저 임플란트는 초기검진, 수술, 수술 후 체크, 보철물 모양 본뜨기, 보철물 임시수복, 보철물 최종수복 등을 위해 최대 6번만 치과에 가면 된다.
유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