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당사자 또는 가족단위의 욕구에 따라
개별화하여 도우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찾아 연계 또는 지원하고,
이용자의 권익옹호를 위해 노력합니다.
재활상담 | 복지서비스 및 장애인 재활 정보 안내 |
---|---|
접수상담 | 복지관 이용 초기 상담 진행, 접수등록(예약, 내방) |
서비스계획수립 |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및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게획회의 |
사례관리 | 접수면접, 진단(평가), 사정, 개입, 상담 및 모니터링, 사례회의, 의뢰, 평가, 사후관리 |
복지 서비스 | 가사지원, 보건의료, 정서지원, 기념일지원, 후원, 이 · 미용, 주거환경 개선, 개별지원 |
---|---|
인적 · 물적 자원 연계 | 결연후원, 후원금품 연계, 자원봉사자 지원 |
식구 만들기 | 봉사자와 재가 장애인 매칭 하여 식사 및 정서지원 (월 1회) |
조사 연구 | 찾아가는 사례관리를 위한 영구임대아파트 전수조사, 서비스 만족도 및 욕구조사 |
권익옹호 TF 연계 | 복지 서비스 과정에서 필요한 이용자 권익옹호 개념 확립을 위한 TF 조직 및 운영 복지관 내 종사자 권익옹호 실천방안 마련 및 적용 |
---|---|
관내 서비스 권익옹호 모니터링 / 간담회 | |
당사자 인권교육 ‘나를 찾아서' |
생활 속 인권 알아보기, 자기 권리 및 주장 알아보기(특강, 소그룹 제외) |
당사자 역량강화 프로그램 |
장애인식개선 강사 양성 준비과정, 장애인 권익옹호 활동 학습, 실천 방안 모색 및 적응방안 마련 |
아름다운 이웃, 우리동네 나눔가게 |
문화/예술/교육/보건의료/외식/생활서비스의 욕구가 있는 저소득 주민과 이용 가능한 지역상점을 주민이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
---|---|
사례관리를 위한 실무자 네트워크 |
일원2동 솔루션위원회,강남구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관리분과, 동남권역 가족지원 네트워크, 강남서초권역 지역복지 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