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복지동향 소식지
서울시 전동보장구 이용 장애인 보험료 지원
서울시가 올해 전동보장구 이용 장애인의 보험가입을 신규로 지원한다. 사고당 최대 2000만원까지 보상 지원하며, 보조기기 이용료 또한 경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달라지는 서울복지'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안심 고령친화도시 서울'을 위한 어르신 지원체계 구출 ▲취약계층의 생활안정 및 자립지원 강화 ▲취약청년 맞춤형 복지서비스 추진 ▲스마트복지서비스 지원 확대다. 이중 장애인 정책을 살펴보면, 장애인의 일상 이동과 생계부담을 덜기 위해 7월부터 39만 전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버스요금 지원이 본격 시행된다. 서울시 전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수도권 버스(서울·경기·인천) 환승까ㅣ 지원하고, 중증 장애인의 경우 동행하는 보호자 1명까지 추가 지원해 정책 효과성을 더욱 강화한다. 또한 전동보장구를 이용하는 모든 장애인에 대한 보험가입을 신규 추진해 일상생활의 편의 및 안전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자치구 당위로 보험 가입을 추진할 예정으로, 장애인의 전동 보조기기 운행 중 발생한 제3자의 대인·대물 배상 책임에 대해 사고당 최대 2000만원까지 보상 지원될 계획이다.
강남구, 보건소 분소에 장애인 위한 '스마트 재활치료실' 운영
수서동 강남스포츠문화센터 1층에 위치한 강남구 보건소 분소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1차 진료실, 장애인치과, 한방진료실, 문리치료실, 재활운동치료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오래된 재활치료 기기 6대를 새오룬 스마트 기기 4대로 교체해 총 10종의 장비를 갖추고 장애 유형별 맞춤 재활치료를 하는 '스마트 재활치료실'로 거듭났다. 새로운 기기는 △실시간 보행훈련·분석기기 1대 △전동 상하지 치료기(수동 겸용) 2대 △전산화 인지치료기 1대다. 우선 기존에 쓰던 전동 보행용 평생봉과 계단 보행기를 '실시간 보행훈련·분석기기'로 교체했다. 이 기기는 3D카메라를 통해 개인의 보행 능력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정상 보행 패턴을 반복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장비다. 또한 현수장치(Smart Gravity, 서스펜션)가 있어 직립 또는 보행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장애인들을 좌우에서 잡아줄 수 있어 훈련 중 무게 중심이 무너지지 않고 걷기 연습을 할 수 있다. 스스로 팔다리를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을 위한 재활운동 장비인 '전동 상하지 운동기(수동 겸용)'를 새롭게 구비했다. 이 기기는 팔다리 반복 운동시 강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완되는 방향으로 반복 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강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운동 수행 능력에 맞게 능동·수동 운동이 모두 가능하다. 인지재활치료기(RehaCom)는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컴퓨터가 그에 맞는 맞춤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비다. 치매·뇌병변 환자의 주의력, ㅣ억력 등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올해부터 재활을 원하는 등록 장애인 전체로 치료 대상을 확대할 뿐 아니라 병원 퇴원 후 장애등록 신청을 하고 대기중인 예비 장애인에게도 재활 운동을 제공한다.
목욕탕 이용안내
● 일 시 : 월요일~금요일 07:00~19:00
● 내 용 : 남/여 대중탕, 가족탕, 편백탕(단, 가족탕/편백탕은 사전예약)
● 대 상 자 : 등록장애인
● 장 소 : 강남장애인복지관 지하 2층 목욕탕
● 이 용 료 : 수급자 1,000원, 비수급 2,000원
● 결제방법 :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지하 2층 키오스크)
● 문 의 : 남탕(고창기) 02-560-8244
여탕(안지연) 02-560-8276
나눔 파트너가 되어주세요
● 후원종류
- 1:1 결연후원, 사업 및 개인지정후원, 일반후원
● 참여방법
- 후원금 나눔 : 온라인 자동이체, 직접 전달
- 후원품 나눔 : 생활용품, 주·부식, 의류 등
● 계좌번호
- 국민은행 207337-04-002418(강남장애인복지관)
- 우리은행 1005-503-052589(강남장애인복지관)
- 하나은행 154-910005-03604(강남장애인복지관)
- 신한은행 100-025-890714((복)대한불교조계종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