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제111회 정기연주회 쇼스타코비치개최


9.10() 1930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려

• 젊은 두 거장의 만남, 데이비드 이 그리고 조진주

•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린 협주곡 제1, 교향곡 제10

 

()강남문화재단(이사장 김종섭) 산하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이하 강남심포니)가 오는 910() 오후 730,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제111회 정기연주회 <쇼스타코비치>를 개최한다.

강남심포니는 클래식 음악의 정통성을 기반으로 한 아카데믹한 해석현대적 감각을 조화롭게 녹여내며, 매 정기연주회마다 강남심포니만의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선보여왔다. 이번 연주회는 20세기 러시아의 거장,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집중 조명하며, 그 강렬하고도 깊은 음악 세계를 청중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강남심포니의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데이비드 이(David Yi)의 지휘 아래,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가 협연자로 함께한다.

격동의 시대 속에서 탄생한 명곡 쇼스타코비치의 내면을 들여다보다

이번 공연에서는 쇼스타코비치의 대표작인 바이올린 협주곡 제1a단조 Op.77’교향곡 제10e단조 Op.93’이 연주된다. 두 작품은 20세기 소련의 격동 속에서 예술가로 살아야 했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내면을 가장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작품들로 체제의 억압과 감시,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양심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했던 그의 음악은 단순한 예술을 넘어 시대를 증언하는 언어가 되었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과 교향곡 제10번은 모두 정치적 암흑기 속에서 탄생했으며, 그 안에는 침묵 속의 저항, 내면의 절규, 그리고 예술이 가진 진실의 힘이 농도 깊게 담겨 있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은 소련의 예술 검열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에 태어났다. 이 시기 소련은 '형식주의'라는 명목으로 많은 작곡가들을 비판하고 검열했으며, 쇼스타코비치 역시 이데올로기의 도마 위에 오른 인물 중 하나였다. 그는 반인민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공식적인 작곡 활동에서 물러나야 했고, 이 협주곡 역시 그러한 정치적 탄압 속에서 발표가 연기되었다. 이 협주곡은 단순한 독주곡을 넘어, 탄압과 침묵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예술가의 내면을 웅변하는 음악적 증언이라 할 수 있다.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제10번은 1953년 작곡되었다. 이는 스탈린이 사망한 바로 그 해였고, 수년간 억압받았던 예술가들이 조심스럽게 침묵을 깨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하다. 이 교향곡은 공식적으로는 스탈린 사망 이후의 첫 교향곡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동시에 작곡가 자신이 겪은 공포와 저항, 정체성의 복원이 겹쳐진 작품으로 널리 해석된다.

세계가 주목하는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

17세에 몬트리올 국제 콩쿠르에서 1위와 관중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이후 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를 비롯해 부에노스아이레스, 쇤펠트, 스툴버그 국제 콩쿠르에서도 1위를 수상하며 세계적 연주자로 자리매김 하였다. 현재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인 조진주는 이전에 캐나다 맥길대학교에서 조교수로, 클리블랜드 음대와 오벌린 음대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또한 시벨리우스, 인디애나폴리스, 파가니니, 몬트리올 국제 콩쿠르 등에서 심사위원으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2015년 부터는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ENCORE CHAMBER MUSIC INSTITUTE를 설립하여 국제 아티스트와 재능 있는 학생들이 함께 모여 집중적으로 배우고 공연할 수 있는 여름 페스티벌도 운영하고 있다.

강남심포니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누구나 관람 가능하며, 티켓 가격은 R5만원, S3만원, A2만원으로 인터파크 티켓과 예술의전당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강남문화재단 예술단지원팀(02-6712-0532)과 홈페이지(gf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