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서비스팀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참여자 맞춤형서비스 지원
접수상담 |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 대상 접수상담 진행 |
---|---|
사정 | 참여자 욕구에 의거한 영역별 전문 상담 진행 |
내부사례회의 | 참여자에 대한 선정회의, 계획수립, 진행과정 점검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 |
지원계획 | 참여자 욕구, 강점에 의거한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 설정 |
개입계획 실행 | 개입계획에 따른 자원연계, 정보제공을 통한 자립 능력 향상 |
점검 및 평가 | 사례관리 진행과정 점검 및 목표달성 평가 |
종결 및 사후관리 | 사례관리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더이상 서비스가 도움이 되지 않을 경우 사례관리 종결 |
사람중심상담 | 참여자와 가족, 지인과 함께 삶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상담 진행 |
---|---|
평생설계(PCP) | PCP관련 도구를 활용하여 참여자가 좋아하고 원하는 활동을 계획하여 보통의 삶 지원 |
열린상담 | 사람중심관점에 의거한 복지관련 정보제공 및 서비스 안내 이동상담소를 통한 복지취약계층 발굴 및 홍보 진행 |
외부 통합사례회의 |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정기회의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 및 통합서비스 지원 |
---|
일상적 권익옹호 |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통해 당사자 및 가족의 권익 증진
|
---|---|
독립적 권익옹호 | 장애인 학대 및 차별 예방 및 지원을 통한 보통의 삶 지원
옹호 의뢰서(내·외부) → 실태조사서 → 권익옹호 계획서 → 권익옹호 계약서(외부기관 의뢰) → 옹호지원 → 평가 및 종결 → 사후지원 |
법률상담 | 법률문제 관련된 상담을 통해 경제적 및 정서적 고민 해소 |
이미용서비스 | 이미용서비스를 통한 위생관리 지원 |
---|---|
세탁지원서비스 | 개인위생환경 개선을 통한 일상생활 내 편의성 향상 |
여가문화지원서비스 | 여가문화서비스를 통한 정서적 지원
|
명절지원서비스 |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명절 지원을 통한 정서적·경제적 지원 |
건강지원서비스 | 건강관련 예방 및 교육을 통한 건강관리 지원 |
일상생활지원서비스 | 참여자 욕구에 의거한 일상생활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