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 일러두기


최근 우리 사회는 여성의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여성 관련 정책도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1997년 이후 매년 양성평등주간마다 여성의 모습을 부문별로 조명하는「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을 작성해 오고 있습니다. '20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인권선언문인 여권통문이 발표된 「여권통문의 날(9.1.)」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됨에 따라 양성평등주간*도 기존 7월에서 9월로 변경되었습니다.
* 양성평등주간 : 9.1.∼9.7.(양성평등기본법 시행령 개정 중)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은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협력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반올림된 것으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xternal_image

●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요약)

Ⅰ. 인구와 가족

2020년 여성 가구주 비율은 31.9%로 10년 전 대비 5.8% 상승

2020년 여성 인구는 2,583만 5천명으로 총 인구(5,178만1천 명)의 49.9%이며, 50대 이하는 상대적으로 남성인구가 많고 60대 이상은 여성인구가 많음

연령대별 성비(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20대가 113.3명으로 가장 높고, 80대 이상은 가장 낮아 49.5명임

2020년 우리나라 여성 가구주 비율은 31.9%로 10년 전(26.1%) 대비 5.8%p 상승
  여성 가구주 비율(%) : (’00)18.5 → (’10)26.1 → (’20)31.9
  여성 가구주 중 유배우 구성비(%) : (’00)16.2 → (’10)24.3 → (’20)26.8

2019년 여성 1인 가구는 309만 4천 가구로 2010년과 비교하여 1.4배 규모

  여성 1인 가구 중 50~60대 비율은 2010년 29.6%에서 2019년 31.4%로 가장 크게 증가
  여성 1인 가구(만가구) : (’00)130.4 → (’10)221.8 → (’19)309.4

2019년 외국인 여성 인구는 약 76만 2천명(전체 여성 인구의 2.9%)이고, 다문화 가구의 여성 가구원 수는 약 55만 6천명임
  다문화가구의 가구원 중 결혼 이민여성 138,773명, 귀화 여성 147,343명

2019년 초혼 건수는 18만 4천 건으로 2009년(23만 7천 건) 대비 5만 3천 건 감소

  평균초혼 연령은 여성 30.6세 남성 33.4세로 남녀 모두 지속 상승 추세
  평균 초혼 연령(세) : (’09) 여성 28.7, 남성 31.6 → (’14) 여성 29.8, 남성 32.4 → (’19) 여성 30.6, 남성 33.4

2019년 이혼 건수는 11만 1천 건, 이 중「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가 38.4%임
  전체 이혼 건수 중「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의 이혼 비중(%): (’90)5.2 → (’19)38.4

2019년 출생아 수는 30만 3천명, 합계출산율 0.92명으로 역대 최저임
  합계출산율(명):(’90)1.57 → (’00)1.48 → (’09)1.15 → (’19)0.92

Ⅱ. 의사결정

2020년 국회의원 여성 비율은 19.0%, 장관 여성 비율은 33.3%로 역대 최고 기록

2020년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의원 총 300명 중 여성은 57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 및 비율(19.0%)을 기록함

2020년 여성 장관은 6명으로 전체(18명)의 33.3%이며, 2015년을 기점으로 증가 추세임

기초자치단체장 중 여성은 2014년 9명(4.0%)에서 2018년 8명(3.5%)으로 감소함

2019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A) 대상 공공기관 및 민간 사업장의 관리자 중 여성 비율은 19.8%로 2009년(14.1%) 대비 5.7%p 상승
  여성 관리자 비율(%) : (’09) 14.1 → (’14) 18.4 → (’18) 20.6 → (’19) 19.8

Ⅲ. 일·생활 균형

2019년 취업 여성의 가사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24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여성은 2020년 상반기에 6,879명으로 2019년에 비해 1,961명 증가함
  (’13년) 692명 → (‘16년) 2,383명 → ('19년) 4,918명 → ('20년 6월) 6,879명

2019년 취업 여성과 맞벌이 가구 여성의 하루 평균 가사시간은 남성보다 각각 1시간 35분, 2시간 13분 더 많음

2019년 일과 가정생활 우선도에서 ‘둘 다 비슷’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여성 49.5%, 남성 40.3%로, 남녀 모두 가정생활 중시 경향이 강화되는 추세임
  일과 가정생활 우선도가 ‘둘 다 비슷’하다는 응답(%) : (’11) 여성 41.2, 남성 29.3 → (’19) 여성 49.5, 남성 40.3

Ⅳ. 여성폭력

2018년 성폭력 발생 건수는 31,396건, 가정폭력 검거 건수는 41,905건

2018년 성폭력 발생 건수는 31,396건으로 2008년(15,970건) 대비 약 2배 증가하였으나, 전년(32,234건) 대비 838건 감소함

2018년 가정폭력 사범은 43,576명으로 2013년(18,000명) 대비 약 2.4배 증가함

  가정폭력 사범 중 동종 재범률은 2013년 11.8%에서 2018년 9.2%로 낮아짐

2018년 불법촬영 피해자는 5,925명으로 2013년(4,823명)에 비해 1,102명 증가하였으며, 전체 피해자 중 여성이 82.9%를 차지함

2019년 여성긴급전화(1366)을 이용한 상담 건수는 35만 3,947건으로 2009년(19만 859건) 대비 약 1.9배 증가함

  2019년 상담 중 가정폭력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성폭력임

Ⅴ. 고용

2019년 경력단절여성은 169만 9천 명으로 5년 전 대비 21.4% 감소

2019년 여성 고용률은 51.6%로 2009년에 비해 3.8%p 상승, 남성 고용률은 70.7%로 2009년 대비 0.5%p 상승

  2019년 남녀 고용률 차이는 19.1%p로 2009년 대비 3.3%p 감소
  고용률(%) : (’09)여성 47.8, 남성 70.2 → (’18)여성 50.9, 남성 70.8 → (’19)여성 51.6, 남성 70.7

2019년 여성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77.9%로 2009년(71.2%) 대비 6.7%p 상승

  2019년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여성(77.9%)이 남성(73.4%)보다 4.5%p 높으나, 상용근로자 비중은 여성(48.7%)이 남성(55.2%)보다 6.5%p 낮음

2019년 여성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23.3%로 2009년(20.2%) 대비 3.1%p 상승
  2019년 여성 취업자 중「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비율은 23.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사무 종사자(20.2%)」,「서비스 종사자(17.8%)」순임

2019년 여성의 월평균 근로시간은 144.6시간으로 남성(157.9시간)보다 13.3시간 적음
  월평균 근로시간(시간) : (’09) 여성 182.9, 남성 192.6 → (’19) 여성 144.6, 남성 157.9

2019년 경력단절여성은 169만 9천명으로 2014년(216만 4천 명) 대비 46만 5천명 감소

  2019년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19.2%로 2014년(22.2%) 대비 3.0%p 하락함

Ⅵ. 소득

2019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의 69.4%, 남녀 격차는 감소 추세

2019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16,358원으로 2009년 대비 84.7% 상승함

  여성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은 2009년 64.6%에서 2019년 76.4% 수준으로 상승함

2019년 여성 기초생활수급자는 98만 9천 명으로 2009년(84만 5천 명) 대비 14만 4천 명 증가

2019년 여성의 59.6%, 남성의 70.7%는 노후가 준비되었다고 응답함
  여성의 주된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48.8%), 예금・적금・저축성 보험(22.8%), 사적연금(10.9%), 기타 공적연금(7.9%) 순임

Ⅶ. 건강

2018년 출생아 건강수명은 여성 64.9년, 남성 64.0년으로 전망

2018년 출생한 여성의 건강수명은 64.9년으로 남성(64.0년)보다 0.9년 더 길게 나타남

2018년 여성의 흡연율(7.5%)과 고위험 음주율*(8.4%)은 10년 전보다 증가하였으나, 남성의 흡연율(36.7%)과 고위험 음주율(20.8%)은 10년 전보다 감소함
  흡연율(%) : (’08) 여성 7.4, 남성 47.8 → (’18) 여성 7.5, 남성 36.7
  위험 음주율(%) : (’08) 여성 6.2, 남성 24.5 → (’18) 여성 8.4, 남성 20.8
  *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비율

2018년 주요 만성질환 유병률 중 빈혈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으나, 당뇨병, 비만, 고혈압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음
  ’18년 여성 유병률(%) : 고혈압 30.4, 비만 30.4, 당뇨 10.3, 빈혈 13.2
  ’18년 남성 유병률(%) : 고혈압 36.4, 비만 43.3, 당뇨 14.6, 빈혈 3.3

출처:여성가족부(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8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