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 남녀의 모습을 조명

- 2022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발표 -

‘21년 경제활동참가율의 남녀 격차는 19.3%포인트(p)로 지속적으로 감소

‘21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고용보험가입률 ’10년 대비 33.3% 증가

‘21년 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 비율 26.3%로 꾸준히 증가

‘21년 난임 시술 이용 환자 수는 남녀 모두 ’17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

가사분담에 대해 공평하게 해야 한다는 인식은 남녀(57.9%, 67%) 모두 높으나, 실제로 공평하게 분담한다는 비율은 약 20% 수준으로 낮음


성가족부(장관 김현숙)6() 27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하여 2022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발표했다.
1997년부터 매년 양성평등주간에 발표해 온 본 자료는 우리 사회 여성의 모습을 다양한 주제로 조명해왔으며,

올해는 그간의 변화된 사회상을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파악하기 위해 주요 주제에 대한 남녀 통계와 새로운 통계 지표*를 폭넓게 수록했다.

* 맞벌이 가구, 건강보험, 난임 시술, 사이버 성폭력 등

2022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9개 분야 50개 통계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야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22년 전체 인구는 5,1628천 명으로 21년 대비 0.2% 감소하고, 1 가구(7166천 가구)의 남녀별 규모는 비슷하며 00(2224천 가구)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 1인 가구 규모 및 비율(%): (’21)여성 3582천 가구(50%), 남성 3584천 가구(50%)

2020 맞벌이 가구(5593천 가구)45.4%40대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막내 자녀 연령이 6세 이하인 맞벌이 가구 비율(44.8%) 15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증가(6.7%포인트(p)(이하 ‘p’)) 했다.

* ’20년 맞벌이 가구 비율(%): (29)38.3, (30)51.3, (40)53.1, (5064)49.3, (65세 이상)25.9

* 막내 자녀 연령별 맞벌이 가구 비율(%)

: 6세 이하 (’15)38.1 (’20)44.8, 712세 이하 (’15)51.5 (’20)53.9, 1317(’15)57.7 (’20)58.4

2021년 한부모 가구(151만 가구)는 전체 가구의 6.9%를 차지하고, 여성 한부모 가구(75.2%)가 남성 한부모 가구(24.8%) 대비 약 3배 많다.
* 한부모 가구 구성비(%) : (’17)여성 74.4, 남성 25.6 (’21)여성 75.2 남성 24.8

□ 2021년 경제활동참가율의 남녀 격차는 19.3%p, 고용률 격차는 18.8%p 00년보다 감소하였다.

2021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53.3%00년 대비 4.5%p 상승하고, 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은 72.6%1.8%p 하락하였다.

* 경제활동참가율(%): (’00)여성 48.8, 남성 74.4 (’21)여성 53.3, 남성 72.6

2021년 여성 고용률은 51.2%00년 대비 4.2%p 높아졌고, 남성 고용률은 70%0.8%p 떨어졌다.

* 고용률(%): (’00)여성 47.0, 남성 70.8 (’21)여성 51.2, 남성 70.0

비정규직 근로자는 20년 대비 남녀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여성의 기간제 근로(3.7%p) 증가폭이 컸다.

* 비정규직 비율(%): (’20)여성 45.0, 남성 29.4 (’21)여성 47.4, 남성 31.0

2021년 여성의 월평균 근로시간(155.4시간)은 남성보다 15시간 적고, 평균근속년수(5.4)도 남성에 비해 2.7년 짧았다.

* 여성 월평균 근로시간(시간) : (’10) 181.2 (’20) 155.0 (’21) 155.4

남성 월평균 근로시간(시간) : (’10) 190.6 (’20) 169.5 (’21) 170.4

* 여성 평균 근속년수() : (’10) 4.4 (’20) 5.2 (’21) 5.4

남성 평균 근속년수() : (’10) 7.0 (’20) 7.8 (’21) 8.1
 

2021년 육아휴직자 약 111천 명 중 남성 비율은 26.3%15년과 비교하여 4.7배 증가하였다.

* 육아휴직자 규모 및 비율

: (’15) 82,467(94.4%) 4,872(5.6%) (’21) 81,516(73.7%) 29,039(26.3%)

2021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15년 대비 8배 이상 증가했으며, 여성이 대부분(90.2%)을 차지한다.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이용():(’15)2,061(’21)16,692

2021년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여성(15.2%) 보다 남성(18.2%) 비율이 높고 15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유연근무 활용률이 높았.

*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15)여성 4.6, 남성 4.7 (’21)여성 15.2, 남성 18.2

* ‘21년 사업장 규모별 유연근무 활용률(%)

:(1029)여성 15.3, 남성 15.1, (100299)여성 27.2, 남성 29.0, (300명 이상)여성 42.3, 남성 42.7

2021년 여성 임금근로자 중 고용보험 가입률은 66.5%10년과 비교하여 16.6%p 올랐고, 남녀 모두 상승 추세이다.

* 고용보험 가입률(%):(’10)여성 49.9, 남성 65.2 (’21)여성 66.5, 남성 72.4

2021건강보험 직장가입률은 10년 대비 여성은 14.7%p, 남성은 6.7%p 높아졌.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비율(%):(’10)여성 57.0, 남성 74.6 (’21)여성 71.7, 남성 81.3

2021년 규모 1천명 이상 민간기업의 여성 임원 수는 15년 대비 1.8증가했고, 여성 임원 비율은 11.5%로 규모가 1천명 미만인 민간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10.3%) 대비 1.2%p 높았다.

* 민간기업(규모 1천명 이상) 여성 임원 규모 및 비율: (’15) 1,959(8.7%) (’21) 3,508(11.5%)

민간기업(규모 1천명 미만) 여성 임원 규모 및 비율: (’15) 1,286(9.8%) (’21) 1,782(10.3%)

2020여성 관리자 비율은 공공기관 20.7%, 지방공기업 7.4%, 민간기업(500명 이상) 23%19년 대비 모두 상승했다.

2020년 사이버 성폭력 검거인원은 4,223명으로 그 중 아동성착취물 검거인원이 61.8%로 가장 많고, 14년 대비 약 3.6배 증가했다.

* 아동성착취물 검거인원:(’14) 734(’20) 2,609

2020년 성폭력 검거 인원은 32,335명으로 11년 대비 1.6배 증가했다.

2021년 난임 시술 이용 환자 수는 남녀 모두 17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했고, 2020년 산모의 평균 초산연령(32.3)‘05년 대비 3.2세 높아졌다.

* 난임 시술 환자 수: (’17) 7,366, 5,203(’21)78,099(54.2%), 65,900(45.8%)

2020년 기대수명은 83.5, 건강수명은 66.3년으로 12년 대비 각각 2.6, 0.6년 증가했다.

2020년 주요 사망원인으로 남녀 모두 악성신생물()1순위이고, 폐렴이 새로운 5대 사망원인으로 등장했다.

* ‘205대 사망원인

: (여성)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폐렴, 알츠하이머병 (남성) 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2020조산아(37주 미만 출생아) 비율(8.46%)05년 대비 1.8배 증가, 쌍태아 이상 출생아 비율(4.88%)05년 대비 2.2배 증가했다.
* 조산아 비율(%):(’05) 4.78 (’20)8.46, 쌍태아 비율(%):(’05) 2.17 (’20)4.88

2021일과 가정생활 중 일을 우선시 한다는 응답 비율은 남녀 모두 17년 대비 감소했고, 일과 가정생활이 비슷하다고 응답한 여성 비율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 ‘일을 우선시 한다응답 비율(%):(’17)33.7, 49.9 (’21)26.3, 38.8

일과 가정생활이 비슷하다응답 비율(%):(’17)48.4, 39.0 (’21)52.5, 45.0

2020가사분담 인식에 대해서는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녀 모두 가장 높은 데 비해, 제 가사분담에 있어서는 아내가 주로하고 남편도 분담한다는 응답이 남녀 모두 가장 높았다.

* (가사분담 인식) ‘공평하게 분담해야한다응답 비율(%):(’20)67.0, 57.9

(가사분담 실태) ‘공평하게 분담한다응답 비율(%):(’20)20.2, 20.7

아내가 주로하고 남편도 분담한다응답 비율(%):(’20)51.7, 54.6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번 통계를 밑거름 삼아 우리 사회의 남녀 현실을 잘 반영하는 정책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세부 추진 과제를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