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호소하는 신체증상에 대해서 내과나 기타 해당 과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 해당 검사를 통해서도 환자가 호소하는 문제의 신체적 원인을 찾지 못하거나, 원인이 있어도 예상되는 바보다 과도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이를 신체화 장애라고 합니다.
- 대개 심리적인 불만이나 갈등이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인은 주관적으로 극심한 불편감과 고통을 느끼나 주변 사람들의 공감을 얻기 어렵고, 객관적인 의료적 검사에서도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더욱 신체 증상에 매달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됩니다.
- 때문에 자신의 고통을 이해해주고 증명해주는 곳을 찾기 위해 여러 병원의 여러 의사를 찾게 되는 것이 이 병의 특징(Doctor Shopping)이지만, 한 의사에게 규칙적으로 일관된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또한, 신체화 장애는 2차적인 불안과 우울을 동반하기도 하며, 약물치료가 증상의 완화에는 도움이 되나 근본적 문제의 해결에는 정신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