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구, 겨울철 폭설대비 본격가동!

2016년도 3월까지 제설대책본부 운영, 강설 사전 예측시스템으로 제설로 인한 피해 막는다.


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갑자기 불어 닥친 한파에 대비코자 지역 내 취약시설을 돌아보고 충분한 인력과 장비를 확충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겨울철 폭설에 대비하는 비상체제를 가동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 10년간 강남구 적설량을 평균을 보면 28.52㎝로 눈이 많이 내렸지만 구는 신속한 제설작업으로 도로를 말끔히 치워 매년 겨울을 무난히 보낼 수 있었다. 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올해도 폭설로 인한 문제점을 찾아 겨울철 제설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지난달 15일 구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제설대책본부’를 두고 다음 해 3월 15일까지 제설대책 인원 729명을 두고 24시간 적설량에 따른 상황별 대응체제를 유지한다.

우선, 서울지역의 강설을 사전 예측할 수 있는 강설 사전 예측시스템 눈·구름층이 주로 서해안에서 동진하여 중부지역으로 진행하는 것에 착안해 인천·문산·강화·영흥·우정에 눈구름의 크기 및 강설 정보 등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
과 인접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강설 화상전송 시스템을 활용해 강설 예측도를 높이고, 주요도로의 교통상황 CCTV와 제설차량 10대에 부착된 GPS, 키패드를 통해 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작업노선과 작업상황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구는 제설 살포기·트럭· 굴삭기·삽날 제설차량의 앞에 장착하여 눈 밀어내기 작업에 효과적임.
을 준비하고 염화칼슘과 친환경 제설제 1086톤, 소금 2210톤을 확보해 제설에 나서는데 필요시 기상 여건을 고려해 추가 구입할 예정이며, 52사단 211연대, 강남경찰서, 소방서, 유관단체 등 4280여 명과 제설작업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완벽한 제설에 나선다.

차량통행이 많은 테헤란로, 봉은사로, 논현로, 도산대로, 삼성로, 광평로, 헌릉로 등 간선도로변은 눈이 3cm 미만 일때는 제설제를 살포하고, 10cm 미만일 때에는 제설제와 제설삽날을 이용해 눈을 치우고, 10cm 이상인 경우는 다른 곳으로 실어다 버리는 방법을 사용할 계획이다.

또 제설작업으로 인한 도로변 수목피해를 예방하고자 다목적 살포기 회전판 슈트의 길이를 조절하고, 가로변 띠녹지에는 공석을 설치해 염화칼슘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책임담당할당제를 실시해 대설경보 발령 시에는 전 직원이 동원돼 관할 주민센터에 출장해 제설이 완료될 때까지 제설을 돕는다.

구는 효과적인 제설을 위해 내집 앞 내 점포 앞 눈치우기 홍보도 대대적으로 할 계획인데, 구청 누리집, 전광판, 현수막, 전단지와 아파트 관리사무소 방송을 통해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올바른 제설문화를 만들어 간다는 방침이다.

도로관리과 최창운 과장은 “구는 기습적인 강설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제설대책본부를 운영해 겨울철 폭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며, 주민의 내 집 앞, 내 점포 앞 눈 치우기에 적극 동참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angel6701@gangnam.go.kr
인용 보도 시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강남구청 www.gangna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