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 끝으로 세상을 읽어요.

- 강남구, 사회적 기업‘하상점자’/전 직원 점역교정사 자격 취득, 시각장애인 직원 피드백 도움 -


손 끝으로 읽어요!

‘점자’,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도록 만든 시각장애인용 문자!
그렇다. 앞을 보지 못하는 그들은 ‘점자’를 통해 글을 읽고 배우고 소통한다. 때문에 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점자 책을 만들고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의 존재 자체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다.


강남구의 사회적 기업 ‘도서출판 하상점자’(이하 ‘하상점자’)가 소외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한편 각종 점자인쇄물과 녹음 음성자료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 사업으로 이들의 정보 접근성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일원동에 소재한 ‘하상점자’는 지난 2008년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식정보 창출과 이를 통한 시각장애인의 교육‧정보‧문화 환경을 개선해 시각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고 쉽게 정보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사업 목표로 첫발을 내딛었다.


우선 시각장애인의 권리향상을 목표로 시각장애인이나 저소득층을 고용해 소외계층의 일자리창출과 사회참여에도 노력해 왔는데 이를 인정받아 2008년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고 각종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주요 생산품으로는 ▲점자 인쇄물 ▲전자도서 ▲녹음 음성자료 ▲통합도서 ▲촉각도서 ▲점자명함 ▲정기간행물 ▲점자 매뉴얼 및 브로슈어 ▲초대장 ▲카드 ▲점자 달력 등으로 다양하다.


아울러 각종 인쇄물 외에도 시각장애인들이 지역정보를 빠르고 쉽게 습득하도록 강남구가 매월 발간하는 소식지인 ‘강남구청 뉴스’를 점자로 번역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어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하상점자’는 사업 초기단계부터 내실 있는 인적 자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전 직원이 “점역 교정사” 자격을 취득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경쟁력과 품질 좋은 제품의 생산, 재 구매로 이어져 안정적인 매출확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덕분에 지난해로 사회적 기업 인건비 지원기간 5년이 종료되었지만 현재 자체 수익으로 충분히 운영될 만큼 탄탄하게 자리를 잡아 향후 성장이 더욱 기대된다.


한편, 강남구는 총 23곳의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있는데 인건비와 사업개발비를 지원함은 물론 안정적 판로 확보를 위해 경영워크숍 및 아카데미 운영, 채용박람회 내 사회적 기업 행사관 운영, 사회적 기업 판매장터 운영 등을 지원한다.


또한 우수 기업 임직원 등의 재능기부를 이끌어 내는 ‘프로보노 지원 사업’을 통해 사회적 기업에 시장정보, 경영 현안에 대한 해결책 등을 제시하여 지속적인 성장도 지원하고 있다.


구관계자는 “앞으로도 취약계층에 일자리 등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상점자’ 같은 많은 사회적 기업 발굴을 위해 꾸준한 지원을 하여 지역사회발전과 사회공헌 활성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ngel6701@gangnam.go.kr
인용 보도 시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강남구청 www.gangna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