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외국인환자 5만 6천명 강남 다녀갔다!
- 2014년 해외 의료관광객 유치실적 최고, 5년 연속 전국 지방자치단체 1위 고수, 진료 수익만 1657억 원
강남구(구청장 신연희)가 지난 해 5만 6388명의 해외 의료관광객을 유치해 보건복지부 발표결과 2014년도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1위를 차지했다고 2일 밝혔다.
의료관광객 유치와 관련해 구는 지난 2010년부터 5년 연속 지방자치단체 평가 1위를 달성하였다. 이는 일찌감치 ‘의료관광팀’ 신설하고 꾸준히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은 덕분이다.
지난 해 강남구 의료관광객 유치수는 대한민국 전체 의료관광객 26만 6501명의 21.2%에 해당하는 수치로 전년도인 2013년에 비해 23.8%(1만 853명) 증가하였고, 서울을 제외하고 2위인 경기도(3만 9990명), 3위 인천(1만 7701명) 보다 월등히 앞서 대한민국 의료관광의 중심도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해 강남구를 찾은 외국인 환자의 국가별 순위를 살펴보면 중국 2만 4926명(44.2%), 미국 7232명(12.8%), 러시아 4215명(7.5%), 일본 4069명(7.2%), 카자흐스탄 2524명(4.5%)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국은 전년대비 46.4%, 카자흐스탄은 236.1% 증가하는 등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또한 진료 과목별로는 주로 성형·피부(47.1%), 내과(12.6%), 검진(8.7%), 한방(6.5%), 치과(3.6%) 진료를 목적으로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형·피부 분과에서는 여전히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지난해 강남구의 외국인 환자 총 진료수입은 전년대비 42.8% 증가한 1657억 원에 달하며, 이는 대한민국 전체 외국인 환자 진료수입의 29.8%를 차지한다. 또한, 해외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전년대비 15.3% 증가한 294만 원으로 전국 평균의 1.4배 수준이다.
이러한 성과는 그동안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기술을 보유한 2400여 개 의료기관이 밀집해 있는 지역적 특성을 살려 다양한 정책을 펼친 결과물이라 하겠다.
구는 지난 2010년 지방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직제 상 의료관광팀을 신설하고 ‘강남구 의료관광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 ▲ 해외설명회 개최 ▲ 국내·외 의료관광 국제 컨퍼런스 참가 ▲ 의료관광 협력기관 선정과 지원 ▲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MOU 체결) ▲ 다국어 전용 홈페이지 구축 ▲ 의료관광 통역지원단 운영과 코디네이터 통역단가 표준안 마련하였고
그 밖에 의료관광 활성화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온·오프라인 등 다양한 홍보와 마케팅에 힘써 왔다.
특히, 의료기관이 밀집해 있는 압구정동에 강남메디컬투어센터를 운영하여강남을 찾는 외국인 환자들이 보다 손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기관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의료분쟁 예방 교육, 의료분쟁 전문가 상담실, 메디컬영어·중국어회화교육 등을 실시해 신뢰받는 의료관광 환경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강남구 관계자는 “올해에도 해외 의료관광객 6만 2500명 유치를 목표로 보다 넓은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 홍보채널을 다양화해 신뢰받는 강남구 의료관광 환경을 만들어 외국인 환자가 유치에 최선을 다 할 것이다.”고 전했다.
angel6701@gangnam.go.kr
인용 보도 시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자료출처=강남구청 www.gangna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