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 관리방법
- 무엇보다도 환기가 중요합니다.
- 실내공기 오염은 그 원인별로 대처방법도 다양하나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실내공기질 관리방법은 환기를 하는 것입니다. 환기가 불충분하면 오염은 더욱 심해지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커지게 됩니다.
- 따라서, 충분한 환기는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위해서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입니다.
- 환기란, 실내외 온도차나 압력차로 인한 공기 이동 등과 같이 자연의 힘이나 기계의 동력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 또는 희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최대 실내 온도 및 습도 유지
계절별 실내 온도 및 습도 안내 표 : 여름,봄/가을,겨울로 구성 여름 봄/가을 겨울 최적온도(℃) 24~27 19~23 18~21 최적습도(%) 60 50 40 - 쾌적한 실내공기를 위해서는 최적 실내 온도 및 습도를 항상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반적인 환기 방법
- 환기는 적어도 하루에 2~3차례 이상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봄, 여름, 가을에는 겨울보다 실내외 기온 차이가 크지 않아 에너지 소비나 냉기(cold draught)에 큰 문제가 없으므로 춥지 않을 정도로 창을 항상 5~20㎝ 정도 열어놓는 것이 좋습니다.
- 겨울에 창을 오래 열어 놓으면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고 찬바람 때문에 환기를 기피할 수 있으므로, 창문 등을 2~3시간 주기로 1~2분 정도 개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환기설비를 설치할 때 공기의 흡입구 및 배출구는 빗물 또는 쓰레기 등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배출구에서 나오는 공기가 흡입구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송풍기는 외부의 기류로 인하여 송풍 능력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고 외부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및 소음으로 인하여 보행자나 인근 건물 등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 특정 오염원이 문제가 될 경우에는 오염 물질 발생원 주위나 사람의 활동 영역 일부을 국소 환기하여 일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실내 전체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 베이크 아웃 (Bake out)
- 특히 신축이나 개.보수한 건물에서는 마감재와 구조재 등 건축 자재로부터 오염 물질이 많이 발생되므로 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태워 없애기’, 즉 ‘베이크 아웃’이라 합니다.
-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여 건축 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 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킨 후 환기를 하여 실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우선 오염 물질이 외부로 많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캐비넷이나 서랍 등은 모두 열고, 외부공기의 유입을 막기 위해 창문 등은 닫아 두어야 합니다.
- 다음에 난방의 온도를 30~40℃로 설정하여 5~6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한 후 모든 문을 열어 환기시킵니다.
- 이렇게 3회 이상 실시하면 실내 오염물질이 현저하게 줄어 오염 물질에 의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청소는 정기적으로 해야합니다.
- 쾌적한 실내를 위해서는 환기와 더불어 청소가 필수입니다.
-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시설은 정기적인 청소만으로도 미세먼지 등 많은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청소를 할 때에는 일간, 주간, 월간, 연간 계획을 세워 실시하는 것이 능률적이며, 바닥이나 벽 청소뿐만 아니라 책상, 캐비넷 등 가구나 구조물은 정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 높은 습도는 유기 화합물이 다른 유기물과 화학 작용을 일으키는 조건이 될 수 있으므로 물청소를 한 후에는 반드시 마른 걸레로 닦아야 합니다.
- 출입구에는 먼지제거용 바닥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콘, 가습기, 환기설비 등은 정기적으로 필터 교체 및 내부청소를 하여야 합니다.
- 오염물질 발생을 줄여야합니다.
- 금연구역 설치 등 실내에서는 흡연을 하지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
- 난방 및 연소기구는 창문을 열어놓는 등 적절한 환기를 하면서 사용하여야 합니다.
- 살충제, 세정제, 스프레이 등 화학약품이 들어 있는 제품은 용기를 잘 밀봉하여 보관하여야 하며 권고된 양만 큼 사용하여야 합니다.
- 방향제, 세정제, 접착제, 얼룩 제거제, 광택제, 부동액, 자동차용 앞면 창유리 세정액 등 7종에 대해 제조 및 수입업자는 용기에 어린이 보호 포장을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 어린이 보호 포장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 읽은 신문이나 음식물쓰레기는 장기간 실내에 두지 말고 즉시 처리하거나 실외에서 함부로 태우지 말아야 합니다.
- 배기가스가 실내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시설 주변에서 자동차 공회전은 자제해야 합니다.
- 컴퓨터나 프린터 등 사무용품은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설치하여야 합니다.